참고: 네트워크 해킹과 보안, 양대일, 홍성혁 저, 한빛미디어
DNS: 숫자로 구성된 IP 주소를 사람이 이해하기 쉬운 도메인 이름으로 상호 매칭해주는 시스템
Whois:
hosts file:
- DNS
DNS는 계층 구조를 이용한다. (DNS가 저장, 관리하는 계층적 구조)

FQDN(Full Qualified Domain Name) 구조
상위 개체 '.' ROOT |
국가 이름 |
DNS 서버에서 지정해놓은 특정 서버의 이름 ex) www, ftp + 조직의 특성 / 고유한 조직 이름 |

클라이언트가 DNS 서버에서 도메인 이름에 대한 IP 주소를 얻는 방법
- hosts 파일에 정보가 없으면 시스템에 설정된 DNS 서버인 로컬 DNS 서버에 질의
- 로컬 DNS 서버에도 해당 정보가 없으면 루트 DNS 서버에 질의
- 루트 DNS 서버에 www.xxxxx.com에 대한 정보가 없으면 com을 관리하는 DNS 서버에 대한 정보를 보냄
- 로컬 DNS 서버는 com DNS 서버에 www.xxxxx.com에 대해 다시 질의
- 해당 정보가 없을 경우, com DNS 서버는 다시 xxxxx.com의 DNS 서버에 질의하도록 로컬 DNS 서버에 응답
- 로컬 DNS 서버는 마지막으로 xxxxx.com의 DNS 서버에 질의
- xxxxx.com의 DNS 서버로부터 www.xxxxx.com에 대한 IP 주소를 질의
- 해당 IP주소를 클라이언트에 전달
ipconfig/displaydns
- Whois
whois 서버에서 얻을 수 있는 정보
- 도메인 등록 및 관리 기관 정보
- 도메인 이름과 관련된 인터넷 자원 정보
- 목표 사이트의 네트워크 주소와 IP 주소
- 등록자, 관리자, 기술 관리자의 이름, 연락처, 이메일 계정
- 레코드의 생성 시기와 갱신 시기
- 주 DNS 서버와 보조 DNS 서버
- IP 주소의 할당 지역 위치
- Hosts file
임의의 별명을 사용하기 때문에 사용자마다 같은 IP를 다르게 부를 수 있음
** DNS는 임의의 별명을 공통된 명칭 하나로 바꿈 = 도메인 이름(www.hanbit.co.kr)
- 윈도우 : |windows|system32drivers|etc|hosts / 리눅스 : |etc|hosts
- hosts 파일 기본 구조

→ IP 주소와 도메인 이름 또는 임의의 명칭은 tab 또는 스페이스로 구분
- DNS 서버가 작동하지 않을 때
- 별도의 네트워크를 구성해 사용하고자 할 때
- 다른 IP 주소를 가진 여러 대의 서버가 같은 도메인으로 클러스팅되어 운용되는 상태에서 특정 서버에 접속하고자 할 때 유용
*클러스팅: 각기 다른 서버들을 하나로 묶어서 하나의 시스템같이 동작하게 함으로써 클라이언트들에게 고가용성의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